728x90 프로그래밍 공부9 [리눅스 꿀팁] /bin/false 에서 /bin/tcsh/로 계정 쉘 바꾸기 이번에 포스팅할 주제는 바로바로 /bin/false 에서 /bin/tcsh/ 혹은 다른 종류의 쉘로 바꾸는 법! 어느날 갑자기 들어가지지 않았던 계정을 풀어야하는 미션을 받은 시안시안 도대체 뭐가 문제였을까? 그것은 바로 계정들이 /bin/false 로 되어있는 것이 문제였던 것! false는 계정 보안 문제 때문에 쓰지 않는 계정들을 막아놓은 것이라고 하는데 그래서 로그인이 안되는 것이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우선 이걸 체크하는 방법은 cat /etc/passwd 그러면 모든 계정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런식으로 뒤에 false가 붙는 걸 확인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sudo chsh -s /bin/tcsh [계정 이름] 이렇게 쳐 주면 쉘이 성공적으로 바뀐 걸 볼 수 있다. 다시 위의 .. 2022. 4. 22. [유니티] 스킬이펙트를 유니티에 스프라이트로 넣어보기 오늘도 어김없이 돌아온 에프터 이펙트 활용해서 스킬 이펙트 제작해보기~ https://youtu.be/9AlT_Fw9C8M 참고영상은 요것! 자료도 저 링크에 올려져 있다. 이 글의 전편은 에펙에서 png로 뽑고 스프라이트 만드는 법~ 참고하면 수월할수도..! https://syan97.tistory.com/22 [에펙] 에펙에서 png 시퀀스로 추출하기 - 맥북편 오늘은 에펙으로 스킬을 만들지 않는다! 바로~ 유니티로 가져가기 전, png 형태로 내보내기~ 이것 역시 아르카도님의 영상을 참고했다. https://youtu.be/9AlT_Fw9C8M 먼저, 메뉴 바에서 내보내기 - 렌더링 syan97.tistory.com 그럼 시작해볼까~ 먼저 project에서 우클릭 후 create - material.. 2022. 4. 6. [타일맵] 유니티로 2D 타일맵 깔고 맵 디자인 하기 첫번째로,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전, 새로운 씬을 만들어준다. 씬 만드는 법은 프로젝트에서 더하기 클릭 - scene 누르면 생성 가능 그런다음 Hierachy에서 우클릭하여 2D Object - Tilemap - Rectangular 추가해주기~ 그다음 window의 2D - Tile Palette 클릭하여 타일맵을 깔아준다! 이때 sprite editor 나 tile palette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Pakage Manager로 가서 따로 설치해주기 그 다음 타일 팔레트에서 create New Palette 클릭해서 팔레트를 생성 그리고 넣고자 하는 타일 png 파일을 클릭 후 inspector로 들어가 자르고자 하는 한 타일의 크기를 넣어준 뒤 (ex 32 pixcel) sprite editor.. 2022. 3. 16. [Kotlin으로 앱 만들어보기] - 버튼 넣어보기 이제 본격적으로 앱에 필수적으로 들어가야할 버튼! 을 넣을 차례~ 이렇게 위의 레이아웃을 선택한 후 버튼을 드래그해서 밑의 Tree로 끌고 넣으면 버튼 이라고 오른쪽에 생기게 된다! 그리고 오른쪽의 Layout을 보면 저렇게 여백을 설정할 수 있는데 bottom과 end 부분을 8로 설정해 보았다. 나는 로또 추첨기 앱을 만들 것이기 때문에, 누르면 새로고침되는 버튼을 넣어보았다. FloatingActionButton을 넣으면 자동으로 아이콘을 설정하는 창이 뜨는데, rotate을 검색해서 나오는 이미지를 넣어주었다. 똑같이 여백 설정하고 clickable 이 true 로 설정되어있는지 확인해주면 버튼 넣기 끝~ 에뮬레이터로 실행시켜서 확인해보자. 잘 나온다! 다음 포스팅으로는 숫자가 나오는 부분을 중앙.. 2021. 12. 29. [Kotlin으로 앱 만들어보기] - 기본 구조를 확인해보자! 먼저 기본 화면 구성은 이런데, 차근차근 보자면 우선 맨 왼쪽에 Android 를 클릭해보자 여기서 지금 선택되어있는 모드가 Android 모드인데 안드로이드 개발 용으로 최적화한 폴더, 파일구조이다. 개발할 때는 주로 이 모드로 한다고 한다 프로젝트 모드는 모든 폴더와 파일을 폴더 구조 그대로 볼 수 있는 모드! 이 두개가 가장 많이 쓰인다. 나는 안드로이드 모드로 선택 그리고 기본으로 떠 있는 코드가 AnroidMainfeest.xml 이라는 파일인데 이 파일이 앱의 전체 구성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이다. (메니페스트) 그리고 MainActivity.kt, activity_main.xml 이것들은 화면을 구성하는 파일들이고 build.gradle 은 빌드를 위해 필요한 설정들을 작성하는 곳이다. 또 .. 2021. 12. 29. [Kotlin으로 앱 만들어보기] - 에뮬레이터 설치하기 설치하고 프로젝트를 만드는데 까지 성공했다면 나중에 이걸 실행시켜서 확인할 기기가 필요하다! 하지만 맥북 유저에다 아이폰 유저로써 안드로이드 기기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ㅠ 그래서 느리지만! 에뮬레이터를 설치하여 그걸로 앱이 잘 구동하는 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미지에서 보이는 저 상단바 아이콘들 중 폰처럼 생긴 아이콘을 클릭한다. (Tools -> AVD Manager) 폰으로 만들거니까 적당히 선택해주고 Next~ 다운로드 눌러주고 NEXT~ 마지막으로 이름 설정하고 Finish 를 누르면 요러케 기기가 등록이 된다! 실행을 시켜보면 참을성있게 기다려주면 저렇게 기본 구성으로 Hello World! 가 뜬다! 이제 앱 만들 준비는 완료! 아직 USB 포트기가 없어서 그게 오면 안드로이드 기기하는 .. 2021. 12. 29. [Kotlin으로 앱 만들어보기] - Android Studio 설치하기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hl=ko 2021. 12. 29. [케이디 유니티 입문] - 트랜스폼 리뷰 유니티 강좌를 유튜브에서 찾던 와중 케이디 강좌를 찾게 되었다...! 알고보니 게임만드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유명하던.. 어쨌든 이왕 유니티 공부를 시작하기로 마음 먹은거, 리뷰를 남기면서 기록해보기로 했다.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지는 않겠지만.. 내가 보는 기록용으로~ **주의! 맥북 유저이므로 맥북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일단 화면을 키면 메인화면으로 이것이 나오고 SampleScene에서 우클릭해서 Cube나 Plane 등을 만들 수 있다. 저건 Cube 설정해 놓은것.. 그리고 맥북에서 저 scene 화면을 확대 축소할 때 어떻게 하는 지 몰라서 애먹었었는데 두손가락으로 쓱 올리고 내리면 확대 축소된다. 그리고 이동키로 바꾸는 단축키는 option 이랑 트릭패드 같이 누르면 됨. (나만 몰랐을 듯..).. 2021. 12. 11. 유니티 단축키 모음 # 기본 화면 재생 키 cmd+p : paly cmd+shift+p : 일시정지 cmd+option+p : play시 프레임 단위로 넘겨주기 # 카메라 셋팅 및 오브젝트 cmd+shift+F : game화면과 동일하게 Main Camera 위치 바꾸기 cmd+shift+N : 빈 오브젝트 생성하기 v + 오브젝트 드래그 : 다른 오브젝트와 맞닿는 위치로 딱 맞게 위치시키기 Q : 화면 이동시키기 W : 오브젝트 이동시키기 E : 오브젝트 회전시키기 R : 오브젝트 크기 조절하기 T : 특정 축으로부터 크기를 조절 F : scene 뷰 카메라를 선택된 오브젝트 위치로 이동 F + shift : 위와 비슷 cmd+option+F : scene 뷰 중앙으로 오브젝트 위치시키기 # 뷰 화면 전환 cmd+1 : .. 2021. 12. 11. 이전 1 다음 728x90